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6

필수제출서류 - 축산물 검역증명서 필수제출서류 - 검역증명서 개요필수 기재 사항1. 개요  검역증명서 또는 수출위생증명서라고 부르는 이 서류는 축산물이 질병, 오염, 유해물질로부터 안전함을 증명하는 공식 문서입니다. 따라서 축산물 수입시 반드시 필요한 필수 구비 서류 입니다.이거 없이 정식 수입하시면 100% 반송 입니다. 위 서류는 동물 검역을 관장하는 수출국 정부기관에서 발급한 서류인데요.가축전염병 예방법 제32조에 따라 동물검역본부에 제출하여야 하구요,수입식품안전관리특별법 시행규칙 제27조 1항 7호에 따라 식약처에 제출하여야 합니다. 즉, 축산물 수입시 1개의 서류를 2개의 기관에 제출하여야 합니다.그래서 원본 부본 발급이 되지 않았던 과거에는원본은 검역본부에 제출하고,복사본에 원본 대조필 도장 꽝! 찍어 사본을 식약처에 제출하곤.. 2025. 3. 9.
수입식품 필수구비서류 - 제조공정도 수입식품 사전준비 - 가공식품 여부 판별하기 개요사례1. 개요  제조공정도(manufacture flow chart)란,수입식품 제조, 가공에 대한 과정을간략하게 도식화한 서류를 말합니다.원료를 투입하고, 세척하고, 껍질을 깎고, 소분해서, 지지고 볶고, 등등일련의 제조 과정들을 적어주는 것입니다.  제조공정도를 통해 확인하고자 하는 것은식품공전 기준 및 규격에 맞춰해당 식품이 만들어졌는지 확인해보기 위함입니다. 식약처에서 심사할 때애매하다 싶으면 제조공정도 제출을 요청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성분표와 마찬가지로뒤늦게 부랴부랴 해외제조업소에 요청하지 마시고미리 준비하여 통관이 지연되지 않도록 합시다! 그러면 몇 가지 사례를 통해제조공정도가 어떻게 작성되어야 하는지알아보겠습니다.  2. 사례 1) 압착올리브.. 2025. 2. 28.
수입식품 필수구비서류 - 성분표 수입식품 필수구비서류 - 성분표 개요필수 기재 사항1. 개요  성분표(ingredient)란, 수입식품에 대한 원재료, 영양정보 등 수입식품 수입신고서 작성 및 한글표시사항 작성에필요한 정보가 적힌 서류를 일컫습니다.  법률적 명칭도 공식적인 명칭도 아닙니다. 업계에서 사용하는 은어랄까요.  성분표, 제품설명서, 제품기술서 등등 본인 입맛에 맞게 다양하게 불리우고 있죠. 명칭이야 어쨌든 수입신고에 필요한 정보들만 잘 적혀 있으면 됩니다.   그렇다면 어떠한 내용들이 기재되어야 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 필수기재사항 1) 제조사명 및 제품명제품명이나 제조사명을 기재 안한 경우가 있습니다.아주 당연한 얘기지만 누가 작성한 서류인지이 서류가 어떤 제품에 대한 정보인지식약처에서도 알 수 있게.. 2025. 2. 27.
2025년 수입가공식품 통관 절차 정리 2025년 수입가공식품 통관 절차 정리개요가공식품이란?식품의유형 판단수입가능 여부 판단필수 구비서류 준비1. 개요  식품의 종류가 다양하지만가장 많이 수입되는 식품의 형태는단연코 가공식품 입니다 가공식품 수입시 확인해야 할 것들이 무엇이 있는지체크해볼까요??   2. 가공식품이란?식품공전에서 규정한 가공식품의 정의를 아주 간단히 요약하자면식품 원료의 원형을 알아볼 수 없게끔지지고 볶거나 다른 식품과 섞은 것을 말합니다. 가공식품이 무엇인지는 지난 포스팅 글을 참고해주세요. :D ↓ ↓ ↓ ↓ 가공식품의 정의(식품공전)3. 식품의 유형 판단식약처에선 대분류(식품군), 중분류(식품종), 소분류(식품유형)로 식품들을 구분하고 있습니다.환타의 경우 음료류(식품군) > 탄산음료류(식품종) > 탄산음료(식품유형)으.. 2025. 2. 24.